Home 바이오매스시장동향 일본목재신문
 
작성일 : 2024-03-04 10:00
일본의 2023년 수입목질계 연료 동향 -목질펠릿과 PKS 수입량 869만톤- (2024. 1. 19)
 글쓴이 : 관리자
조회 : 1,273  
일본목재신문 제1153호
일본의 2023년 수입목질계 연료 동향 -목질펠릿과 PKS 수입량 869만톤- (2024. 1. 19)

 

목질바이오매스 발전소나 석탄화력혼소 발전소 등에서 사용한 2023년의 수입 목질계 연료는 목질펠릿과 PKS(야자껍질) 모두 증가했다. 두 종류의 합계 수입량은 869만톤까지 증가하고 있어 해마다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. 그 중에서도 목질펠릿의 수입량이 2022년보다 140만톤 증가하는 등 증가폭이 현저하다.

2023년의 목질펠릿 수입량은 581만 3,000톤(전년대비 31.9% 증가)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. 산지 국가별로는 베트남산 261만 1,528톤(동 9.1% 증가), 그 다음으로 캐나다산 158만 3,125톤(16.5% 증가), 미국산 126만 2,781톤(동 316.8% 증가)으로 일제히 증가했다. 다만, 오스트레일리아산은 4만 9,197톤(동 16.7% 감소)으로 감소했다.

목질펠릿의 수입증가 요인은 대형 목질바이오매스 발전소의 신설이 일부에서 건설설비 등의 문제로부터 연기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증가경향에 있어 장기계약 물량 등이 원활하게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.

한편, PKS 수입량은 288만 6,147톤으로 전년대비 0.4% 증가했다. 산지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산이 224만 4,009톤으로 동 1.5% 증가했고 말레이시아산은 63만 1,708톤으로 동 4.5% 감소했다. PKS는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제3자 인증취득의 경과조치가 3월 31일에 기한을 맞이한다. 경과조치 기한은 지금까지 2회 정도 연장되었지만 4월 1일부터는 PKS를 연료재로 사용하려면 제3자 인증의 취득을 필요로 하며 비인증재의 PKS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. 이 때문에 2024년에는 PKS의 대폭적인 감소도 우려되고 있다.

자원에너지청이 집계한 FIT인정·도입량의 최신 수치는 2023년 9월까지이지만 9월 시점의 일반목재 구분의 가동건수는 94건(전년동월비 17건 증가), 가동용량도 895만 3,484kW(동 230만 5,540kW 증가)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.


이름 패스워드 비밀글